심리는 내 친구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53)
      • 심리학 (51)
  • 홈
  • 태그
  • 방명록
심리학

심리학 - 아동학대 이야기 P9

심리학 - 아동학대 이야기 P9 아동학대 유형 아동학대 분류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 성적, 부주의 학대 4가지 행동 유형으로 나눈다.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는 아동에게 해를 입히거나 잠재적인 위해 또는 위협을 가하는 모든 행위로 정의하면서 아동학대를 위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부주의 학대가 그것이다. 1989년 공포된 영국의 아동법에서는 아동의 생리, 지능, 감정,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행위를 아동학대로 규정하고 있다. 아동학대 분류 신체적 학대 신체적 학대의 경우 발로 차기, 꼬집기, 뺨 때리기, 귀 잡아당기기, 머리카락 잡아당기기, 채찍질하기, 묶기, 담배 화상, 과도한 체벌 등이 있다. 가해자들은 그들이 단지 아이들을 훈육할 뿐이라고 주장하지만..

2021. 11. 16. 05:07
심리학

심리학 - 자존감 이야기 P8

심리학 - 자존감 이야기 P8 자존감이란? 자존감은 삶의 건강한 발달과 성취를 유지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인간에게 있어 삶의 심리적 뿌리라고 본다. 자존감이 작용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부딪히는 문제가 뭘까? 바로 정신건강이다. 자존감은 초기에 개인의 심리적 반응과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삶(개인의 사회생활과 심리적 삶)의 불완전성이나 완성도는 정신건강에 따라 좌우된다. 사회 생활을 하다 보면 우리는 항상 다양한 종류의 요구에 직면한다. 그러나 어떤 요구사항이든 자세히 들여다보면 기본적으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사람은 건강하고 활동적, 발전적이어야 하며 좋은 이미지로 대중 앞에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좋은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은 무엇일까? 좋은 이미지를 유지하는 것은 확실히 효과적인 방..

2021. 11. 5. 20:56
심리학

심리학 - 열등감 두 번째 이야기 P7

심리학 - 열등감 두 번째 이야기 P7 열등감을 이렇게 극복해보자. 심리학에서 열등감은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고 모든 면에서 남보다 못하다고 느끼는 일종의 자기부정을 말한다. 이것을 인격의 결함이라 볼 수 있지만 주요 증상은 자신의 능력과 자질에 대한 낮은 평가와 수줍음, 불안, 죄책감, 우울, 실망 등과 같은 몇 가지 특별한 감정일 뿐이다. 장기적인 열등감 콤플렉스는 심리적인 건강 및 육체적 건강까지 해친다. 구체적인 피해를 들자면 사람들을 정신적으로 우울하게 만들고 종종 다른 사람들이 내려다보는 것을 두려워하여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기를 꺼리게 만든다. 타인으로부터의 소외감, 자기 연민, 심지어는 죄책감, 자책감, 자신감 결여, 우유부단함 등과 결별하라. 그렇지 않으면 생리학적으로는 면역계 기능의 저..

2021. 10. 21. 08:51
심리학

심리학 - 열등감 첫 번째 이야기 P6

심리학 - 열등감 첫 번째 이야기 P6 열등감은 무엇일까? 다른 사람과 비교할 때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감정적 경험을 열등감 콤플렉스라고 하며, 이는 심리적 결함을 말한다.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 아들러(Adler)에 따르면 어린 시절부터 무력, 무능, 무지로 인해 사람들은 부모와 주변 세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며 이때 특정 열등감이 발생한다고 믿는다. 공격 성향은 자존감의 감정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과도한 보상의 표현인 열등감에서 기인한다고 보며, 범죄자를 개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열등감 콤플렉스는 심리 교정하는데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열등감 콤플렉스가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촉진하고, 자신의 결점을 빠르게 개선하게 하며 자신의 성장에 점진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2021. 10. 21. 01:40
심리학

심리학 - 심리 효과 다섯 번째 이야기 P5

심리학 - 심리 효과 다섯 번째 이야기 P5 깨진 유리창 효과 "깨진 유리창 효과"는 사람들의 심리에 대한 환경의 암시적 또는 귀납적 영향에 대한 이해라고 보면 된다. 쉽게 얘기해서 누군가 유리창을 깨뜨렸을 때 유리창이 제때 수리되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이 더 많은 유리창을 깨뜨릴 수 있으므로 문제가 발견되면 바로 수정해야 한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자인 필립 짐바르도(Philip Zimbardo)는 1969년에 실험을 진행했는데, 똑같은 차 두 대를 발견하고 그 중 한 대는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의 중산층 동네에, 다른 한 대는 비교적 어수선한 브롱크스에 주차했다. 멀쩡히 주차되어 있던 차 유리에 큰 구멍을 냈더니, 불과 몇 시간 만에 도난 당하는 모습을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는 점은 정치학자 윌슨..

2021. 10. 20. 13:44
심리학

심리학 - 심리 효과 네 번째 이야기 P4

심리학 - 심리 효과 네 번째 이야기 P4 호손 효과 호손 효과는 1924년부터 1933년까지 일련의 실험적 연구에서 비롯되었다. 1927년부터 1932년까지 조지 엘튼 메이요(George Elton Mayo) 교수는 작업 조건과 생산 효율성 간의 관계를 연구했는데, Hawthorne이라는 용어는 실험에 사용되는 공장에서 유래한 것이다. Western Electric Company에서 시카고에 위치한 공장 이름으로 실험은 초기에 외부 환경 조건(조명 강도, 습도 등)과 심리적 요인(휴식 시간, 팀 압력, 근무 시간, 경영자 리더십 등)을 포함하고 있다. "호손 효과"-추가적인 관심으로 인해 성과나 노력이 증가하는 상황, 이른바 '카타르시스 효과'다. 호손 효과의 발견은 실패한 관리 연구에서 비롯되는데, ..

2021. 10. 20. 13:32
  • «
  • 1
  • ···
  • 5
  • 6
  • 7
  • 8
  • 9
  • »
반응형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심리는 내 친구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