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는 내 친구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53)
      • 심리학 (51)
  • 홈
  • 태그
  • 방명록
심리학

심리학 - 행운에 속지마라 P23

행운에 속지 마라를 읽고... 시간을 들여서 짧게 짧게 보았다. 너무 책을 읽지 않은 탓인지 약간 난해한 부분도 있었지만 완독을 했다는데 의의를 두고 독서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노력해야겠다. 밤이 깊었는데 얼른 마무리하고 자야겠다. 내일을 위해... 파이팅!!! 하늘로 솟은 모스크 「예를 들어 우리는 어떤 전략이 탁월하고, 어떤 사업가에게 비전이 있으며, 어떤 트레이더가 뛰어나다고 생각하지만, 이들이 올린 과거 실적의 99.9%가 운 때문이었음을 뒤늦게 깨닫는다. 이익을 낸 투자자에게 성공한 원인을 설명해달라고 부탁해보라. 그는 심층적이고도 설득력 있게 자신의 성과를 해석할 것이다. 흔히 이런 착각은 의도적이며, 허풍이라고 보아야 마땅하다.」 Part1 솔론의 경고 – 비대칭, 불균형, 귀납법 「“세상에서..

2022. 2. 27. 00:33
심리학

심리학 - 돈의 심리학 P22

돈의 심리학을 읽고서... - 당신은 왜 부자가 되지 못했는가?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나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적어보았다. 더욱더 겸손한 자세로 삶을 살면서 더욱더 열심히 공부하면서 살아야겠다. 즐겁고 신나게 사는 것이다. 파이팅!!!) story 1. 아무도 미치지 않았다. 「누구나 자신만의 경험에 근거해서 주어진 순간에 자신에게 합리적으로 보이는 의사결정을 내릴 뿐이다.」 story 2. 어디까지가 행운이고, 어디부터가 리스크일까 「우리가 행운과 리스크를 제대로 존중한다면 (나의 것이든 남의 것이든) 사람들의 경제적 성공을 판단할 때 겉으로 보이는 것만큼 좋은 경우도, 나쁜 경우도 결코 없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story 3. 결코 채워지지 않는 것 「‘내가 가지지 못한 것,..

2022. 2. 21. 18:55
심리학

심리학 - 분리 불안 이야기 P21

심리학 - 분리 불안 이야기 P21 분리 불안이란? 분리 불안은 영유아가 친척과의 분리로 인한 불안 또는 불쾌한 감정적 반응을 말하며, 이별 불안이라고도 한다. 즉 영유아가 누군가와 친밀한 관계를 맺은 후 누군가와 헤어질 때 느끼는 슬픔과 고통, 헤어짐을 거부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으로써 유아 불안 장애의 일종으로, 취학 전 아동기에 자주 발생한다. 분리 불안의 3단계 존 볼비는 유아 분리 불안을 다음의 3단계로 나눈다. 1. 저항 단계 - 하울링 및 울음, 발로 차고 문제 만들기 2. 실망 단계 - 여전히 울고, 간헐적으로, 덜 시끄러운 움직임, 다른 사람 무시, 느린 표정 3. 분리 단계 - 외부인의 보살핌을 받아 식사, 장난감 가지고 노는 등의 정상적인 활동을 시작하지만 엄마를 보면 다시 슬픈 표정..

2021. 12. 3. 00:06
심리학

심리학 - 섭식 장애 이야기 P20

심리학 - 섭식 장애 이야기 P20 섭식장애란? 섭식 장애는 가벼운 정신병으로 본다. Bulimia - 라틴어로써 극도의 배고픔을 의미한다. 환자는 과식 후 구토 또는 부적절한 배설을 통하여 소화되지 않은 음식을 배출한다. 구토 없이 배설하지 않아 체중을 유지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비만 으로 발전한다. 날씬한 몸매를 위해 음식을 줄이거나 먹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신체 다른 기관에 악영향을 미쳐 생명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런 종류의 질병은 모델링 업계에서 만연해 있는데 이유는 마른 것이 아름답다는 세속적인 인식이 극단적으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신경성 식욕 부진증 거식증은 식욕감퇴를 말한다. 사실 환자들은 여전히 ​​정상적인 식욕을 유지하고 있지만, 저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식이조절을 과도하게 조절..

2021. 11. 27. 05:07
심리학

심리학 - 자폐 이야기 P19

심리학 - 자폐 이야기 P19 자폐증이란? 자폐증은 자폐장애 등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전반적 발달장애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전반적 발달장애를 자폐 장애, 레츠 증후군, 아동기 붕괴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및 상세불명의 전반적 발달장애 5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그 중 자폐증과 아스퍼거 증후군이 더 흔하다. 자폐증은 1940년대에 임상적으로 처음 기술되었다. 1943년 미국 의사 케너는 11명의 환자를 통해 초기 영아 자폐증이라고 명명하며 이 그룹의 환자들은 다른 사람과의 심각한 정서적 접촉 부족, 이상하고 반복적인 의식 행동, 침묵 또는 언어의 심각한 이상, 높은 수준의 시각적 공간 기술 또는 기계적 기억 능력 및 기타 측면 대비 학습 장애, 똑똑하고 기민하며 매력적인 외모 등의 특징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2021. 11. 26. 05:07
심리학

심리학 - 자유 의지 이야기 P18

심리학 - 자유 의지 이야기 P18 자유 의지란? 자유 의지는 철학적인 개념으로, 의식이 무엇을 하기로 선택하는지에 대한 결정, 즉 주도적인 의지라 할 수 있다. 인간이 자신의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으로써 종교의 범주에서는 전능한 신이나 어떤 신비한 힘이 개인의 의지와 선택을 그 힘으로 통제하지 않는다고 본다. 자유 의지는 개인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도덕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보고, 심리학에서는 마음이 신체 활동의 일부를 통제하며, 과학 분야에서는 자유 의지란 뇌를 포함한 신체의 행동이 완전히 결정되지 않고 물리적인 원인과 결과로 결정된다고 본다. 자유 의지의 존재 여부는 항상 철학과 과학에서의 핵심적인 문제다. 모두가 인정하는 자유 의지에 대한 정의는 없다. 철학에서는 자유의지에 대한 정의가..

2021. 11. 25. 05:07
  • «
  • 1
  • ···
  • 3
  • 4
  • 5
  • 6
  • 7
  • 8
  • 9
  • »
반응형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심리는 내 친구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