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는 내 친구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53)
      • 심리학 (51)
  • 홈
  • 태그
  • 방명록
심리학

5분 만에 다른 사람 마음 읽기

5분 만에 다른 사람 마음 읽기 5분 안에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사람의 마음을 읽기 위해서 흔히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것을 해석하는 능력을 갖게 된다면 심리학의 비밀을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심리학의 비밀 사람의 마음을 읽기 위해서 굳이 천리안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 사람의 마음을 읽기 원하신다고요? :) 다른 사람도 내 마음을 읽고 싶어 합니다. 우리가 갖고 있는, 남들이 쉽게 알아챌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요? 바로 신체언어입니다. 내 생각을 들키고 싶지 않다면 행동을 통해서 나오는 신체언어를 조심하세요. 그런데 아무리 조심하려고 해도 결국에는 상대방에게 전달이 됩니다. 신체언어와 관련된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세요...

2022. 11. 18. 09:49
심리학

에릭슨의 삼단논법, 유전적 결정론, 환경 결정론

심리발달 중 에릭슨의 삼단논법 에릭슨은 누구인가? Erickson은 잘 알려진 미국 정신분석가이자 새로운 정신분석 학파의 수장입니다. 1902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덴마크인 부모 밑에서 태어났습니다. 1939년 미국으로 귀화한 그는 1933년부터 1939년까지 보스턴에서, 하버드, 예일 및 기타 의학 및 인간 관계 학교에서 근무했으며 인류학자와 함께 수족 문화에 대한 인도 보호 구역과 유로크스 인류학 조사 연구를 했습니다. 1939년부터 1944년까지 그는 인간 생활 주기의 다양한 단계에서 아동 놀이의 갈등 해결 및 성별 차이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는 캘리포니아 아동 복지 연구소의 종단 아동 감독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나중에 그는 캘리포니아, 캔자스 및 기타 지역에서 가르쳤고 점차 성격 발달 이론을 형성..

2022. 10. 13. 12:50
심리학

가족생활주기

가족생활주기 가족생활주기는 가족사회학에서 가족의 역동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구방법으로 가족생활의 각 단계의 특성을 조사한다. 미국 학자 그렉은 1890년과 1950년에 두 개의 미국 인구 조사 데이터를 연구하기 위해 이 방법을 사용했다. 기원 가족 생애주기 이론은 1930년대에 Hill과 Hansen이 처음 제안하여 1950년대에 공식적으로 가족 문제에 적용되었으며 Hill과 Dubar로 대표되는 1970년대에 번성했다. 가족은 생물학적 요구, 문화적 규범, 사람들의 요구와 가치의 생애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가족은 사람들의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족이 불편해진다. 1990년대에 세대 간 지향적인 가족 치료사인 Monica는 가족 생애주기 이론을 새로운 요소로 통합..

2022. 9. 29. 23:53
심리학

내 삶을 부정하자

내 삶을 부정하자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왔는지 생각해보자. 진정 나답게 살아왔는지 아니면 나다운 척 하면서 살아왔는지. 아마 십중팔구 나 아닌 모습으로 살아왔을 것이다. 잘 살아온 내 모습을 부정하자는 것이 아니다. 내가 아닌 모습을 버리고 새롭게 태어나자는 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 자신을 깨달아야 가능하다. 어쩌면 본능적으로 내 마음 속의 두려운 존재로부터 버림받지 않고 사랑받기 위해 발버둥 쳤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사는 것은 나를 버리는 삶이다. 내가 그렇게 자랐기 때문에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아이에게 그렇게 행동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만약 그렇다면 아이는 겉으로 드러내지는 못하고 속으로 곪고 있다. 고통스럽지만 표현이 서툴러서 혹은 부모에게 착한 아이가 되기 위해서 말을..

2022. 9. 28. 06:50
심리학

심리적 성장하기

심리적 성장하기 ‘아! 그 때 그 말을 왜 했지?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기분 나쁘지 않았을까? 다음부터 나를 멀리 하는 거 아닐까? 괜찮을까? 아...’ 이러면서 본인이 한 말을 계속 생각하면서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이럴 때는 나를 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내 입장에서만 바라보고 내 마음대로 해석하면서 자꾸 오해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대방은 무슨 말을 했는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저번에 무슨 일이 있었다라고 물어보면 황당한 눈빛으로 바라볼 수 있다. 모든 사람이 나와 같은 생각을 하지도 않을뿐더러 할 수도 없다. 그러므로 남의 기분이 어떤지 생각한다는 핑계로 나만 생각하는 사람이 아닌지를 생각해야 한다. 사실, 사람들은 자신의 일만 신경쓰고 처리하기에도 바쁘다. 생각해보면 다른..

2022. 9. 27. 06:50
심리학

감정가면은 위험하다

감정가면은 위험하다 웃고 싶을 때 웃고, 울고 싶을 때 우는 것은 자연스러운 행동이다. 하지만 이 감정을 내 마음대로 느끼지 못한다는 사실처럼 안타까운 일은 없다. 혹시 우리 아이가 나 때문에 싫어도 싫은 내색 못하고 억지로 의식적으로 감정을 통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는 ‘효자’로서의 삶은 부모 입장에서는 행복한 일이지만 자녀의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불효자’의 삶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 상황은 지루하고 우울하고 재미없고 불행한데, 즐겁고 신나고 재미있고 행복한 것으로 연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나를 돌봐주는 사람이 실망할까 두려워서 그럴 수 있다. 실망하면 그 영향은 바로 내게 미칠 것이고 평안한 상황이 변하는 것이 싫어서 연기를..

2022. 9. 26. 06:50
  • «
  • 1
  • 2
  • 3
  • 4
  • 5
  • »
반응형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심리는 내 친구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